지역별 산업재해 통계 알아보기 
<제조업> 

 

 

산업 재해 産業災害 industrial disaster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 

주로 노동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열악 등 불완전한 상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나, 부수적으로 완벽한 환경에서도 노동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건설업, 그 다음이 제조업으로 두 업종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장과 건설현장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과반수를 차지하며 사무직에서는 매우 드물게 인정됩니다. 

 

우리 지역에서 산업재해가 얼마나 발생할까?

 

최근 5년(2019~2023년)간 행정 구역별 제조업 사고 사망자 현황

단위 : 명

월간 안전보건 9월호 참조

사고 사망자
업무상 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

발생 형태 용어
(끼임)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떨어짐)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깔림 · 뒤집힘) 쓰러지는 물체에 깔리거나 물체의 뒤집힘
(물체에 맞음)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
(부딪힘) 물체에 부딪힘 

 

2023년 행정 구역별 제조업 사업장 및 근로자 수

  • 사업장 수 : 412,474 개소 
  • 근로자 수 : 4,006,893 명  

단위 : 개소, 명

월간 안전보건 9월호

 

제조업 재해 사례 

 

재해 사례

컨베이어 정비 중 끼임 : 재해자가 컨베이어의 동력전달부(체인)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던 중 손이 끼임 

 

발생 원인 : 

  • 컨베이어 수리 및 청소 등의 작업 시 운전 정지 미실시
  • 동력 전달부에 방호덮개 미설치

예방대책 : 

  • (정비 및 청소 시) ➊ 컨베이어 운전 정지 ➋ 다른 사람이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동장치에 잠금장치를 한 후 잠금장치 열쇠 별도 관리  ➌ 조작금지 표지판 부착

 

재해 사례 

지게차 포크 위에서 작업 중 떨어짐 : 재해자가 지게차 포크에 올라가 작업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떨어짐

 

발생원인 :

  • 지게차 주용도(화물의 적재ㆍ하역 등) 외 사용

예방대책 :

  • 지게차 주용도 외 사용 금지
  • 고소작업은 안전성이 확보된 이동식비계 등 작업발판 위에서 진행

 

 

 

 

[산업안전 지식] 

작업 시 감전 재해 예방 

 

 

 

#월간안전보건10월호


◆ 감전 : 전기 에너지가 인체에 가해져 충격을 받는 현상 

 

기본적으로 감전사고라고 한다면, 전기가 흐르는 곳과 물이 닿아 신체에 접촉하게 되면

몸으로 대량의 전기에너지가 전달되어 신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생각을 하실 텐데요.

 

꼭 물과 전기만이 아니라 근로자들이 일하는 현장에서도 충분히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감전 예방 안전수칙 알아보기

• 전기기계·기구 또는 전로의 설치·해체·정비·점검 등(전기작업)은 유자격자가 작업
• 전기작업 시 전기차단 및 투입 등의 작업순서는 작업계획서 등에 작성된 안전 작업절차를 따름
• 전기의 투입·차단 여부를 알 수 없는 전선이나 설비는 함부로 만지거나 작업하지 않음
• 전기기계·기구는 절연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사용
• 신체 옷 등이 물에 젖거나 습윤한 상태에서 전기기계·기구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거나 만지는 등의 행위 금지
• 물이 고여있는 바닥 등 습윤한 곳에 전선을 방치하지않도록 함
• 통로 바닥에 이동전선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음
• 접지가 필요한 전기기계·기구 작업대상 전기 설비 등은 올바르게 접지(녹색의 접지선과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 및 작업실시
• 감전위험 방지를 위하여 사업주로부터 받은 절연용 보호구를 올바르게 착용

 

 

 

 

 

#금속제품제조업 #금속가공업 

[유해 · 위험 요인 및 예방대책]

 

 

 


기타금속제품제조업 또는 금속가공업 중 자동차 부속품을 제조하는 공정은 ① 원재료 입고 및 제품 출고, ②-1 프레스 가공, ②-2 금형 제작 및 수리, ③ 용접 및 납땜, ④ 세척작업, ⑤ 액체도장 및 분체도장, ⑥ 부품 조립, ⑦ 검사이며, 이들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는 ⑧ 폐수 처리 공정이 별도로 있습니다. 

 

‘금형제작 및 수리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위험요인 및 예방대책’ 

 

* 신규 제품 생산을 위하여 금형을 새로 제작하고, 장시간 사용 등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오염된 금형을 수리하는 작업

 

공정 · 작업별 내용 유해 · 위험 요인 예방대책
금형 운반 •  [섬유로프 등] 손상된 섬유로프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운반하던 중 섬유로프 파손으로 떨어지는 중량 물에 맞음 깔림 •  [꼬임이 끊어진 섬유로프 등 사용 금지] 꼬임이 끊어진 것 또는 심하게 손상되거나 부식된 것 사용금지(안전보건규칙제387조)
•  [사용 전 점검] 화물취급 작업을 하는 경우 해당 섬유로프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는 섬유로프는 즉시 교체(안전보건규칙 제 388조)
금형 수리 •  [섬유로프 등] 손상된 섬유로프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운반하던 중 섬유로프 파손으로 떨어지는 중량 물에 맞음 깔림 •  [중량물 작업계획서 작성] 중량물을 취급하는 경우 물체에 맞음 넘어짐 끼임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에 관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계획에 따라 작업 실시(안전보건 규칙 제38조)
금형 세척   [프레스] 프레스 등에 금형을 부착하거나 해체 또는 조정하는 작업 을 할 때 슬라이드의 갑작스러운 작동으로 금형에 끼임   [안전블록 사용하는 등 조치] 근로자의 신체가 위험한계(프레스 내부 등) 내에 들어가는 작업을 할 때는 안전블록 설치(안전보건규칙제104조)
선반   [선반 등 회전기계] 선반 밀링 등 날, 공작물또는 축이 회전하는 기계 취급 시 목장갑 착용으로 손 또는 장갑(그물코)이 회전체에 말려끼임 •  [가죽장갑 등의 사용] 날 공작물 또는 축이 회전하는 기계를 취급하는 경우 손이 말려 들어갈 위험이 없는 장갑(손에 밀착이 잘 되는 가죽 장갑 등) 사용(안전보건규칙제95조)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안전보건 가이드

 <축산업>

 

 


축산업의 주요 사고 사례 

 

떨어짐 산소 결핍 물체에 맞음
[2020년 4월] 축사 지붕에서 기존 설치된 선라이트 위에 보강용 강판을 덮던 중 5.1m아래로 떨어져 사망 [2018년 4월] 돈분 슬러지 배관을 여닫는 작업을 하던 중 방류구 내부로 떨어져 산소 결핍으로 사망 [2018년 2월] 1단에 적재된 왕겨톤백(700kg)을 확인하던 중 넘어지는 2단 톤백에 맞아 사망
예방대책 예방대책 예방대책
• 취약한 지붕재, 채광창 위로 이동 금지
• 슬레이트 등 강도가 약한 지붕에 폭 30㎝ 이상의 작업통로용 발판 설치
• 안전모 착용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안전대착용
• 작업 전 충분한 환기 실시
• 작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 공기 호흡기 또는 송기 마스크 착용
• 외부에 작업상황 감시인 배치
• 비상 대피용 공기 호흡기 또는 송기 마스크 사다리 섬유로프 등 비치
• 개구부 안전난간 설치 등 방호조치 실시
•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화물 적재
• 중량물 취급 작업계획서 작성
• 작업 통제ㆍ관리하는 작업 지휘자 배치
• 작업방법 위험요인 등을 근로자에게 주지

 

축산업의 기본! 

 

➊ 작업장 정리ㆍ정돈

➋ 업무 시 작전 안전사고 위험작업 및 준수사항을 근로자에게 전파

➌ 위험장소에 안전 표지판 및 스티커 설치ㆍ부착

➍ 안전보건 관련 업무를 수행할 담당자 지정 후 사업장 안전보건 관리상태 체크

➎ 축사 지붕 위 작업 시 절대로 채광창을 밟지말고 작업 통로용 발판 설치 및 안전대ㆍ안전고리 착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