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발생 형태 및

재해 정도(요양 기간)별 재해자 현황


산업 재해 産業災害 industrial disaster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 

주로 노동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열악 등 불완전한 상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나, 부수적으로 완벽한 환경에서도 노동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건설업, 그 다음이 제조업으로 두 업종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장과 건설현장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과반수를 차지하며 사무직에서는 매우 드물게 인정됩니다. 

 


 

최근 5년(2019~2023년)간 발생 형태 및 재해 정도(요양 기간)별 재해자 현황

 

단위 : 명

 


사고 사망자
업무상 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

발생 형태 용어
(끼임)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떨어짐)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깔림 · 뒤집힘) 쓰러지는 물체에 깔리거나 물체의 뒤집힘
(물체에 맞음)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
(부딪힘) 물체에 부딪힘 
(업무상 질병) 뇌심혈관질환, 근골격계질환 등



 

건설업 재해자의 43.0%(63,380명), 떨어짐 및 넘어짐으로 발생” 

떨어짐 및 넘어짐 재해자의 95.7%(60,669명), 29일 이상 요양

 

월간 안전보건 12월호

※ 사망자에는 사업장 외 교통사고, 체육행사, 폭력행위, 사고 발생일로부터 1년 경과 사고사망자, 통상 출퇴근 사망자는 제외되어 있고 재해자에는 제외되는 사고사망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재해 정도(요양 기간)를합한 수치와 재해자는 일치하지않음

 

 

건설업 재해 사례 

 

재해 사례 

자재 운반 중 개구부에 빠져 지하로 떨어짐 : 

재해자가 거푸집 동바리 자재를 2층으로 운반하던 중 개구부(높이 4.5m)에 빠져 지하 물탱크실 바닥으로 떨어짐 

 

발생 원인 : 

  • 떨어짐 위험 장소(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 개구부)에 안전난간 및 개구부 덮개 설치, 개구부 표시 등 방호조치 미실시 

 

예방대책 : 

  • 떨어짐 위험 장소에 방호조치 실시 

-  떨어짐 위험 장소에 안전난간 또는 덮개 등을 충분한 강도를 가진 구조로 견고하게 설치(개구부 덮개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 

- 개구부임을 표시하는 등 필요한 조치 실시 

 

 

재해 사례

 

계단을 내려가던 중 넘어짐 

재해자가 화물을 들고 아래층으로 내려가던 중 계단을 확인하지 못하고 발을 헛디뎌 넘어짐 

 

발생 원인 :

  • 계단 발판에 미끄러짐 방지조치 미실시
  •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 미설치
  • 계단 정리 · 정돈 미실시 

 

예방대책 : 

  • 계단의 발판 끝부분과 계단참의 표면에는 마찰력이 있도록 미끄러짐 방지조치 실시 
  • 계단의 폭은 1m 이상으로 하고 높이가 1m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는 안전난간 설치
  • 계단 및 작업장 정리 · 정돈 실시 

 

업종별 실무길잡이 - '건설업 가설전기공사' 

'임시 수전설비 설치 및 운영' 시 유해 ·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

 

건설공사에서 필요한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공사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가설전기를 운용합니다.

가설전기 운용 전 우선 공사 착공 시기 및 규모, 건물 배치도 등을 파악해 수전 용량 및 수전 설비, 배선경로, 동별 분전반 위치, 임시전등과 전열 설치 등의 운용계획을 수립합니다. 

 

임시 수전설비 

 

• 큐비클형 - 옥외에 설치하는 금속제 외함 구조의 수전설비로 22.9㎸ 고압을 인입하여 220V 또는 380V의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로, 변압기 등이 외함 내부에 설치되며 최근 대규모 건설 현장 대부분에서 사용한다. 

• 개방형 - 현장 내에 전주를 설치하고 고압을 인입하여 개방된 변압기를 통해 220V 또는 380V의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의 수전설비로 최근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이동형 - 중소규모 건설 현장에서 한전 변압기로부터 220V 또는 380V의 저압을 직접 수전하여 직접 또는 배ㆍ분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로 고정하거나 이동이 가능하다.

 

‘임시 수전설비 설치 및 운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위험요인 및 예방대책’

 

공정 · 작업별 내용 유해 · 위험 요인 예방대책
➊가공선로 인입

• 도로나 인도 통행 시 간섭
• 인입 케이블 손상
• 장력 완화로 늘어짐
• 통행 중 걸려 넘어짐
• 외부 충격에 의한 케이블 손상
•  한전 선로로부터 현장에 인입하는 공사는 『전기사업 법』에따른자격자가수행
•  가공선로로 인입 시 충분한 높이(6m 이상 권장)로 시설
• 케이블 늘어짐 예방을 위한 보조 로프 설치
•  바닥으로 인입 시외부 충격에 따른 손상 방지를 위하여 방호관 설치
- 방호관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경사 유지
➋바닥으로 인입

➌가공선로 방호관

• 선로 주변에서 차량 등의 작업 시
충전부 접촉
•  현장 주변 선로에는 전선 방호관 설치
•  선로 주변 작업 시 감시인을 배치하여 선로 접근 예방
➍임시 수전설비

• 전기 관계자 외 근로자의 수전설비 접촉
• 수전설비에서 지락 사고 발생시 울타리 충전
• 쥐 등의 수전설비 침입으로 단락 사고 발생
• 수전설비 점검 중 충전부 접촉
•  수전설비 주변 접근 예방 울타리 설치
- 철제 울타리에는 접지 공사 실시
•   수전설비의 케이블 인입/인 출구는 발포재 등으 로 폐쇄
• 전기 위험 경고표지 부착 및 시건조치 실시
•   울타리와 수전설비간 작업 공간 확보(70㎝ 이상)
•  수전설비 도어 개방시 내부조명 자동 점등
•   「전기사업법」에 따른 유자격자가 주기적인 점검 실시
➎경고 표지 및 시건

➏울타리 접지

 

근무 기간별 산업재해 통계 알아보기
<건설업>

 

 

산업 재해 産業災害 industrial disaster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 

주로 노동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열악 등 불완전한 상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나, 부수적으로 완벽한 환경에서도 노동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건설업, 그 다음이 제조업으로 두 업종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장과 건설현장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과반수를 차지하며 사무직에서는 매우 드물게 인정됩니다. 

 

근로자들의 근무 기간에 따라 산업재해에 영향이 갈까?

 

최근 5년(2019~2023년)간 근무 기간별 건설업 사고 사망자 현황

 

단위 : 명

월간 안전보건 11월호 참조

 


사고 사망자
업무상 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

발생 형태 용어
(끼임)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떨어짐)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깔림 · 뒤집힘) 쓰러지는 물체에 깔리거나 물체의 뒤집힘
(물체에 맞음)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
(부딪힘) 물체에 부딪힘 
(무너짐) 건축물이나 쌓인 물체가 무너짐

 

건설업 재해 사례 

 

재해 사례 

외벽 도장작업 중 로프가 풀려 작업자 떨어짐 : 

재해자가 달비계를 타고 외벽 도장작업을 하던 중 로프가 풀려 떨어짐

 

발생 원인 : 

  • 로프 풀림 방지조치 미실시
  • 작업 로프 외 수직구명줄 미설치

 

예방대책 : 

  • 로프는 2개소 이상의 견고한 고정점에 옭매듭 등으로 견고히 결속하고, 말단부에는 U볼트 체결 등 풀림 방지조치 실시
  • 작업 로프 외 별도의 수직구명줄 설치 및 안전대(추락방지대 체결) 지급 및 착용 

 

재해 사례 

고소작업대 과상승으로 끼임 : 

고소작업대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하던 재해자가 고소작업대 과상승으로 인해 콘트리트 보와 고소작업대 안전난간 사이에 끼임

 

발생 원인 : 

  • 고소작업대의 과상승 방지조치 미흡

 

예방대책 : 

  • 고소작업대의 과상승 방지를 위해 리미트 스위치를 적정 높이에 설치
  • 풋스위치와 조작레버는 동시에 조작해야 작업대가 상승 · 하강토록 유지 관리
  • 작업 시작 전 안전장치 정상 작동 여부 확인 

 

 

근무 기간별 산업재해 통계 알아보기
<제조업>

 

산업 재해 産業災害 industrial disaster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 

주로 노동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열악 등 불완전한 상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나, 부수적으로 완벽한 환경에서도 노동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건설업, 그 다음이 제조업으로 두 업종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장과 건설현장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과반수를 차지하며 사무직에서는 매우 드물게 인정됩니다. 

 

근로자들의 근무 기간에 따라 산업재해에 영향이 갈까? 

 

최근 5년(2019~2023년)간 근무 기간별 제조업 사고 사망자 현황

 

단위 : 명

월간 안전보건 11월호 참조

 


사고 사망자
업무상 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

발생 형태 용어
(끼임)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떨어짐)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깔림 · 뒤집힘) 쓰러지는 물체에 깔리거나 물체의 뒤집힘
(물체에 맞음)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
(부딪힘) 물체에 부딪힘 

 

 

제조업 재해 사례 

 

재해 사례 

리프트 피트 청소작업 중 운반구에 끼임 : 

리프트의 피트 내부에서 청소작업을 하던 재해자가 다른 근로자가 리프트 하강 버튼을 눌러 리프트에 끼임 

 

발생 원인 : 

  •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리프트 작동
  • 정비 · 수리 · 청소에 따른 안전조치 미실시

 

예방대책 : 

  • 방호울 출입문과 운반구 출입문 개방 시 운전이 정지되도록 연동장치 설치
  • 피트 청소 시 각재 또는 원목을 승강로에 걸치고 그 위에 운반구를 놓은 후 작업
  • 정비 · 수리 · 청소 중 전원을 차단하고, "전원 투입 금지" 표지판 부착 

 

재해 사례

빈 드럼통을 용단하던 중 폭발 : 

재해자가 빈 드럼통을 산소-LPG 절단기로 자르던 중, 드럼이 폭발하며 날아온 드럼통 상판에 머리를 맞음 

 

발생 원인 :

  • 잔류 인화성 물질 제거 미흡
  • 인화성 물질을 저장했던 드럼을 제품, 고철 등을 담아두는 용기로 사용

 

예방대책 : 

  • 드럼을 부득이하게 절단하는 경우 증기 잔류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
  • 드럼을 절단하기 전에 마개를 개방하고, 물 또는 불활성 기체 등으로 내용물을 치환하여 위험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등 사전 안전조치 실시
  • 사용 이력이 확인되지 않은 드럼은 가급적 본래 용도 외 사용 금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