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발생 형태 및

재해 정도(요양 기간)별 재해자 현황


산업 재해 産業災害 industrial disaster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 

주로 노동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열악 등 불완전한 상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나, 부수적으로 완벽한 환경에서도 노동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건설업, 그 다음이 제조업으로 두 업종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장과 건설현장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과반수를 차지하며 사무직에서는 매우 드물게 인정됩니다. 

 


 

최근 5년(2019~2023년)간 발생 형태 및 재해 정도(요양 기간)별 재해자 현황

 

단위 : 명

 


사고 사망자
업무상 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

발생 형태 용어
(끼임)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떨어짐)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깔림 · 뒤집힘) 쓰러지는 물체에 깔리거나 물체의 뒤집힘
(물체에 맞음)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
(부딪힘) 물체에 부딪힘 
(업무상 질병) 뇌심혈관질환, 근골격계질환 등



 

건설업 재해자의 43.0%(63,380명), 떨어짐 및 넘어짐으로 발생” 

떨어짐 및 넘어짐 재해자의 95.7%(60,669명), 29일 이상 요양

 

월간 안전보건 12월호

※ 사망자에는 사업장 외 교통사고, 체육행사, 폭력행위, 사고 발생일로부터 1년 경과 사고사망자, 통상 출퇴근 사망자는 제외되어 있고 재해자에는 제외되는 사고사망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재해 정도(요양 기간)를합한 수치와 재해자는 일치하지않음

 

 

건설업 재해 사례 

 

재해 사례 

자재 운반 중 개구부에 빠져 지하로 떨어짐 : 

재해자가 거푸집 동바리 자재를 2층으로 운반하던 중 개구부(높이 4.5m)에 빠져 지하 물탱크실 바닥으로 떨어짐 

 

발생 원인 : 

  • 떨어짐 위험 장소(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 개구부)에 안전난간 및 개구부 덮개 설치, 개구부 표시 등 방호조치 미실시 

 

예방대책 : 

  • 떨어짐 위험 장소에 방호조치 실시 

-  떨어짐 위험 장소에 안전난간 또는 덮개 등을 충분한 강도를 가진 구조로 견고하게 설치(개구부 덮개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 

- 개구부임을 표시하는 등 필요한 조치 실시 

 

 

재해 사례

 

계단을 내려가던 중 넘어짐 

재해자가 화물을 들고 아래층으로 내려가던 중 계단을 확인하지 못하고 발을 헛디뎌 넘어짐 

 

발생 원인 :

  • 계단 발판에 미끄러짐 방지조치 미실시
  •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 미설치
  • 계단 정리 · 정돈 미실시 

 

예방대책 : 

  • 계단의 발판 끝부분과 계단참의 표면에는 마찰력이 있도록 미끄러짐 방지조치 실시 
  • 계단의 폭은 1m 이상으로 하고 높이가 1m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는 안전난간 설치
  • 계단 및 작업장 정리 · 정돈 실시 

 

전지 제조ㆍ취급업 

화재ㆍ폭발 사고 대비 안전 가이드

 

전지 제조·취급업 특징
•화재·폭발 위험이 있는 화학물질·제품을 취급
•특히 다양한 장점을 가진 리튬전지를 제조·취급하는 사업장 증가

리튬전지 위험요인
•손상되거나 고온·습기 노출 시 과열, 발화 
•주변 전지로의 열전달 시 대형 화재·폭발 발생

➊ 제조 과정 - ’24.6월 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하여 23명 사망, 8명 부상
➋ 취급 과정 - ’24.8월 배터리 도매 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명 사망
➌ 폐기 과정 - ’24.1월 폐기물 재활용 업체에서 폐배터리 파쇄 중 화재 발생

 


》저습도 상태를 유지하고 발열ㆍ화재 감지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화기, 물, 충격을 금지하고 난연재질의 도구로 전지를 보관ㆍ이송해야 합니다.

》 화재 확산 방지형 공장 설계, 전지 분리 보관, 적정한 소화설비를 설치 해야 합니다.

》 비상구 1개 이상 설치하고 전 직원 교육과 비상대비 훈련을 실시해야 합니다. 

 

01  습도 관리,
작업장 환기
• 방전 처리한 폐전지 보관시 환기 장치 가동
• 외부 공기 유입 억제(저습도 공정 유지)
• 결함 전지 별도 보관(담수, 배기 처리)
• 습도 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02  발열·화재 감지
장치 설치
• 화재(가스) 감지ㆍ경보 장치 설치
• 열화상 카메라로 발열 여부 점검
03  화기 접근 물, 접촉,
충격 금지
• 우천시 운송을 피하고 덮개 차량 이용
• 상하차, 보관시 충격ㆍ낙하 주의
• 화기 접근, 물 접촉 금지
04  전지 보관·이송 시
난연재질 도구 사용
• 난연 재질 트레이(Tray) 사용
• 철재 대차를 이용하여 전지 보관ㆍ이송
05  화재 확산 방지형 공장  설계, 전지 보관 구역 분리
• 철근 콘크리트 단층 구조물로 건축
• 건물간 안전거리 확보
• 격벽을 설치하여 전지 분산 보관
06 소화 설비 설치
• 소화 약제 구비
• 각 격리 공간 소화 설비 설치
07 비상대응 매뉴얼 마련,
비상구 설치
• 비상대응 매뉴얼 마련
• 출입구 외 비상구 1개 이상 설치ㆍ유지
• 벽과 바닥에 대피로 방향 표시
08 근로자 교육,
비상대피 훈련
• 모든 근로자 대상 안전보건교육
• 물질안전보건자료 대상 물질 취급 근로자 교육
• 소방훈련, 구호 조치 등 비상대피 훈련

 

업종별 실무길잡이 - '건설업 가설전기공사' 

'임시 수전설비 설치 및 운영' 시 유해 · 위험 요인 및 예방 대책

 

건설공사에서 필요한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공사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가설전기를 운용합니다.

가설전기 운용 전 우선 공사 착공 시기 및 규모, 건물 배치도 등을 파악해 수전 용량 및 수전 설비, 배선경로, 동별 분전반 위치, 임시전등과 전열 설치 등의 운용계획을 수립합니다. 

 

임시 수전설비 

 

• 큐비클형 - 옥외에 설치하는 금속제 외함 구조의 수전설비로 22.9㎸ 고압을 인입하여 220V 또는 380V의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로, 변압기 등이 외함 내부에 설치되며 최근 대규모 건설 현장 대부분에서 사용한다. 

• 개방형 - 현장 내에 전주를 설치하고 고압을 인입하여 개방된 변압기를 통해 220V 또는 380V의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의 수전설비로 최근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이동형 - 중소규모 건설 현장에서 한전 변압기로부터 220V 또는 380V의 저압을 직접 수전하여 직접 또는 배ㆍ분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로 고정하거나 이동이 가능하다.

 

‘임시 수전설비 설치 및 운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위험요인 및 예방대책’

 

공정 · 작업별 내용 유해 · 위험 요인 예방대책
➊가공선로 인입

• 도로나 인도 통행 시 간섭
• 인입 케이블 손상
• 장력 완화로 늘어짐
• 통행 중 걸려 넘어짐
• 외부 충격에 의한 케이블 손상
•  한전 선로로부터 현장에 인입하는 공사는 『전기사업 법』에따른자격자가수행
•  가공선로로 인입 시 충분한 높이(6m 이상 권장)로 시설
• 케이블 늘어짐 예방을 위한 보조 로프 설치
•  바닥으로 인입 시외부 충격에 따른 손상 방지를 위하여 방호관 설치
- 방호관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경사 유지
➋바닥으로 인입

➌가공선로 방호관

• 선로 주변에서 차량 등의 작업 시
충전부 접촉
•  현장 주변 선로에는 전선 방호관 설치
•  선로 주변 작업 시 감시인을 배치하여 선로 접근 예방
➍임시 수전설비

• 전기 관계자 외 근로자의 수전설비 접촉
• 수전설비에서 지락 사고 발생시 울타리 충전
• 쥐 등의 수전설비 침입으로 단락 사고 발생
• 수전설비 점검 중 충전부 접촉
•  수전설비 주변 접근 예방 울타리 설치
- 철제 울타리에는 접지 공사 실시
•   수전설비의 케이블 인입/인 출구는 발포재 등으 로 폐쇄
• 전기 위험 경고표지 부착 및 시건조치 실시
•   울타리와 수전설비간 작업 공간 확보(70㎝ 이상)
•  수전설비 도어 개방시 내부조명 자동 점등
•   「전기사업법」에 따른 유자격자가 주기적인 점검 실시
➎경고 표지 및 시건

➏울타리 접지

 

 

지역별 산업재해 통계 알아보기 
<건설업> 

 

산업 재해 産業災害 industrial disaster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 

주로 노동자의 과로나 기기 상태의 열악 등 불완전한 상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나, 부수적으로 완벽한 환경에서도 노동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건설업, 그 다음이 제조업으로 두 업종은 거의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장과 건설현장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의 과반수를 차지하며 사무직에서는 매우 드물게 인정됩니다. 

 

우리 지역에서 산업재해가 얼마나 발생할까?

 

최근 5년(2019~2023년)간 행정 구역별 건설업 사고 사망자 현황

단위 : 명

월간 안전보건 9월호 참조


사고 사망자 
업무상 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

발생 형태 용어
(끼임)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
(떨어짐)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짐
(깔림 · 뒤집힘) 쓰러지는 물체에 깔리거나 물체의 뒤집힘
(물체에 맞음)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맞음
(부딪힘) 물체에 부딪힘 

 

 

2023년 행정 구역별 건설업 사업장 및 근로자 수

  • 사업장 수 : 321,949 개소
  • 근로자 수 : 2,233,184 명 

단위 : 개소, 명

월간 안전보건 9월호 참조

 

건설업 재해 사례

 

재해 사례 

보 거푸집 조립작업 중 떨어짐 : 건물 신축공사 현장, 1층 보 하부 거푸집 상부에서 측면 거푸집을 조립하던 재해자가 발을 헛디뎌 떨어짐

 

발생 원인 : 

  • 떨어짐 방지조치 미실시
  • 고소작업 시 개인보호구(안전모, 안전대) 미착용

예방대책 :

  • 떨어짐위험이있는장소에서는작업발판과안전난간을갖춘비계를설치한후작업실시
  • 안전모 및 안전대 착용
  • 높이 2m 이상의 장소에는 작업자가 안전대를 걸고 작업할 수 있도록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재해 사례 

후진하던 덤프트럭에 부딪힘 : 덤프트럭 이동경로에서 작업하던 재해자가 후진하는 덤프트럭의 뒷바퀴에 부딪힘 

 

발생 원인 : 

  • 끼임, 부딪힘 위험 방지조치 미실시
  • 유도자(신호수) 미배치

예방대책 :

  • 덤프트럭등차량계건설기계운행구간과근로자이동통로를분리설치하고 운행구간근로자출입통제
  • 유도자(신호수)를 배치하고 일정한 신호에 따라 차량 운행

+ Recent posts